메일을 정리하다가 갑자기 4월 6일 즈음 엄청난 로그인 시도가 감지된 걸로 확인되었다.

부 확인 메일로 일회용 로그인 코드 요청이 온 것 방금 발견하고 인터넷에 찾아보니 여러 사례가 있던

사례였다.

먼저, 

 

https://account.live.com/

접속 후 내용을 확인 해 보려고 하니 정보들은 아래와 같이 확인 하면 된다.

 

 접속후 보안에서 가운데 로그인 활동 보기.... 하면 된다.

 

 

그러면 아래와 같이 전 세계를 만나게 된다.

전 세계와 친구들과 계정을 공유하게 되는 경험.

 

친구들이 많이 생겨난 느낌이 별로 흡족하지 않다. 기분이 상한 관계로 정리 수순을 밟아 보도록 한다.

여러 가지 방법들이 있으니 추천 방법으로 여러 가지가 있으니 실천해 보는 즐거운 시간을 진행해 보도록 한다.

 

 

 

 

 

 

 

메일로그인 방법 삭제

 

메일로 코드를 받아 통한 로그인은 삭제가 옳다.

그리고 2단계 인증까지

 

 

인증방법은 원하는 방향으로 설정해 놓으면 된다.

(앱은 또 설치해야 해서 핸드폰으로 변경함)

 

 

정리 

  로그인 인증의 처리는 정보의 유출로 이어지는 중요한 사항으로 생각이 되는 데 먼저 마이크로소프트라는 거대 업체가 

해외 IP 차단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다는 건 좀 더 신경을 써줘야 하는 것처럼 보인다. 물론 해외 출장이 잔은 비즈니스에 소속된 사용자라면 문제가 될 듯 하지만, 그런 점에서 아쉽기만 합니다. 기술적으로 될 텐데 라는 의문점만 남기고 접어 봅니다.

2025년 에드 센스 계정을 확인하고 있었는데 갑자기 주소 인증을 해야 한다며

우편을 보낸단다...

 

애드센스 홈페이지 올만에...

 

머지? 새롭게 생간 절차 인가?

 

그리고 우여곡절 끝에 우편이 도착함.

최신AI가 판을 치고 생성형 이미지가 날라 당기는 이 시점에

 

그만큼 오프라인의 무언가 필요한 시점이 된 건가?

2023년부터 변경된 분들이 왕왕 글이 보이던데 나도 이렇게 받고 나니 신기한 감정이 들기도

합니다.

 

 

몇 주가 걸린 것 같습니다.

우편이 도착했고 집에서는 신기한 얼굴로 

 

" 너 모냐~ 구글한테 편지도 받고"

 

그리고 아래는 내 손이 나왔길래 AI 툴로 지우고 

배경 이미지를 자동으로 생성해 달라고 했습니다.

 

신(新) 구에 만남으로 해 둘까요.

 

그런데 한편으로 우편이 오랜만 이어서 그런지 정겹습니다.

물론, 조금은 귀찮은 21세기 산물이 아닌듯한 느낌이지만요

 

종이 책을 읽고 편지를 쓰고 하던 시간이 이렇게 빨리 사라지고 있는 것도 신기하고요.

종이 책은 좀 더 누려야겠지만요.

 

여하튼 저 종이 뒤에 인증번호 넣는 정보만을 전달하고서는

쓰레기 통으로 갈 예정이지만요

 

광고 수익을 올리려고 하는 목적이겠지만, 애드센스를 그냥 

둘 수는 없으니 작업하다 보니 생긴 일이라 좀 더 생각이 들게

하는 하루입니다.

즐거운 하루 보내시길... (맞춤범 검사기도 좋네요 ^^)

 

프로젝트 시작하면서 또 봐야 할 DB 설계시 정부 표준을 봐야 하기에 또 옛자료들 들추며확인 중이었는데

7월에 업데이트 (5차가 진행됨)

1)공동데이터 포털 공지사항 접속  https://www.data.go.kr/bbs/ntc/selectNoticeListView.do 

 

공공데이터 포털

국가에서 보유하고 있는 다양한 데이터를『공공데이터의 제공 및 이용 활성화에 관한 법률(제11956호)』에 따라 개방하여 국민들이 보다 쉽고 용이하게 공유•활용할 수 있도록 공공데이터(Datase

www.data.go.kr

2) 공공데이터 공통표준용어 검색

검색

결과를 확인하여 최신의 데이터를 확인

용어, 단어, 도메이인 엑셀로 되어 있는 파일(필요에따라서 HWP 파일도 있음)

 

3

3) 해당 최신 글을 들어가서 다운로드 한다.

2022-07 링크

 

확인용으로 남겨 본다.

sql 문의 log 출력을 아름답게 변경하려고 준비 했던 것들이 있었다. ~3.10 에서 사용하던 log 설정 및 CustomFormatter 파일이 있어 그대로 이용중이 었다. 다만, pom 설정을 조금 다르게 가져가다 보니 문제가 발생했다.

 

기본적으로 

https://offbyone.tistory.com/208

 

log4jdbc-remix의 Custom SQL Formatter 만들기(SQL log 줄 바꿈)

SQL Query 로그의 줄을 바꿔서 어느정도 예쁘게 출력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log4jdbc-remix 를 사용해서 쿼리 로그를 만들게 됩니다. 테스트는 전자정부표준프레임워크 비즈니스 템플릿을 MySQL(

offbyone.tistory.com

이 내용을 참조하여 진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설정 끝내고 구동을 했더니 WAS가 시작 되지 않고 아래와 같은

아래 같은 오류가 발생한다.

Property 'logFormatter' 
threw exception; nested exception is java.lang.NoSuchMethodError:
'void net.sf.log4jdbc.SpyLogFactory.setSpyLogDelegator(net.sf.log4jdbc.SpyLogDelegator)'

 

context-datasource.xml 파일의 설정

egovframework.cmmn.Log4JdbcCustomFormatter.java 파일은 위 블로그를 참조로 만들었음.

    <bean id="dataSource" class="net.sf.log4jdbc.Log4jdbcProxyDataSource">
       <constructor-arg ref="dataSource-Spied" />
       <property name="logFormatter"> 
	       <bean class="egovframework.cmmn.Log4JdbcCustomFormatter"> 
	           <property name="loggingType" value="MULTI_LINE" /> 
	           <property name="margin" value="8" /> 
	           <property name="sqlPrefix" value="SQL: ################################################################################################################" /> 
	       </bean> 
    	</property>
    </bean>
    
     <bean id="dataSource-Spied" 설정들 ...

여러 이런식의 파생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위처럼 인경우 나 그 근접한 문제인 경우

또는 junit 등의 같이 사용후 오류 등이 있다.

 

log4j의 여러 라이브리의 충돌 인것이다.

 

pom.xml 을 확인해 보자.

 

<!-- log4jdbc driver -->
		<dependency> 
	        <groupId>org.lazyluke</groupId> 
	        <artifactId>log4jdbc-remix</artifactId> 
	        <version>0.2.7</version> 
        </dependency>
        
        <dependency>  
              <groupId>org.slf4j</groupId>  
             <artifactId>slf4j-log4j12</artifactId>  
            <version>1.7.35</version>  
        </dependency>
        
        <!-- 아래가 충돌 : 나중에 삭제함. -->
        <dependency>
            <groupId>com.googlecode.log4jdbc</groupId>
            <artifactId>log4jdbc</artifactId>
            <version>1.2</version>
            <exclusions>
                <exclusion>
                    <artifactId>slf4j-api</artifactId>
                    <groupId>org.slf4j</groupId>
                </exclusion>
            </exclusions>
        </dependency>

나는 이렇게 되어 있었다.  그렇다. log4jdbc 이 충돌 하고 있던 것이다. 하...

googlecode.log4jdbc 부분 전체를 주석으로 변경하고 처리 하면 되는 것이다.

 

알길이 없다 싶어서 기록으로 남겨 놓았다. Java 오류가 발생하는 것도 아니고 말이다.

다른 문제를 찾을 수도 있지만 저런 라이브러리 충돌도 잘 봐야 할것 같다.

+ Recent posts